Granuloma annulare - 환상 육아종https://en.wikipedia.org/wiki/Granuloma_annulare
환상 육아종 (Granuloma annulare)은 원형이나 고리 모양으로 배열된 피부에 붉은 돌기가 나타나는 만성 피부 질환입니다. 처음에는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환자의 2/3는 30세 미만이며 어린이와 젊은 성인에게 가장 흔히 나타납니다.

환상 육아종 (granuloma annulare)은 일반적으로 무증상이므로 초기 치료는 보통 국소 스테로이드입니다. 국소 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스테로이드 피내 주사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치료
1개월 간격으로 3~5회 병변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Triamcinolone intralesional injection
☆ AI Dermatology — Free Service
2022년 독일의 Stiftung Warentest 결과에 따르면 ModelDerm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는 유료 원격진료 상담보다 약간 낮았습니다.
  • Perforating form of Granuloma annulare ― 공통적인 부위 중 하나는 손등입니다. 대개 무증상 구진으로 나타납니다.
  • Tinea corporis와 erythema annulare centrifugum은 감별진단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특징은 단단한 환형 병변이며, 가려움증이나 통증 등의 증상은 없습니다.
References Granuloma Annulare 29083715 
NIH
Granuloma annulare은 결절 덩어리가 특징인 피부 상태입니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가장 흔한 비감염성 육아종성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양성이지만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팔과 다리에 빨간색 고리 모양의 패치나 돌기가 나타납니다.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localized(가장 흔한 형태), generalized, perforating, patch, subcutaneous 변이가 있습니다. 대체로 큰 문제는 아니지만, 때때로 HIV나 암과 같은 보다 심각한 질환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Granuloma annulare is a cutaneous granulomatous disease that is not caused by an infection. It is the most common non-infectious granulomatous disease. The disease is benign and often self-limited. Granuloma annulare usually presents as erythematous plaques or papules arranged in an annular configuration on the upper extremities. In addition to the more common presentation, termed localized granuloma annulare, other clinical variants of granuloma annulare include generalized, perforating, patch, and subcutaneous. Despite being a benign disease, it can be associated with more serious conditions such as HIV or malignancy.
 Granuloma Annulare: An Updated Review of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Treatment Options 34495491 
NIH
Granuloma annulare (GA)는 염증과 육아종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국소형 또는 전파형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전파형은 덜 흔한 변형이며 (patch, perforating, and subcutaneous subtypes) 입니다.
Granuloma annulare (GA) is an inflammatory granulomatous skin disease that can be localized (localized GA) or disseminated (generalized GA), with patch, perforating, and subcutaneous subtypes being less common variants of this benign condition.